유네스코가 가치를 기념하는 방법
국제상, 기념일·기념해 등으로 세계평화의 가치 되새겨
2016년 07월 25일 08시 17분 입력

국어사전에서 정의하는 ‘기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어떤 뜻 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 등을 오래도록 잊지 아니하고 마음에 간직함.”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해서는 대개 축제와 같은 관련 행사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기념’이라는 단어 자체보다는 ‘기념행사’라는 단어가 보다 자연스럽게 사용되곤 한다. 그러나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학자이자 사상가인 아브라함 요수아 헤셸은 자신의 저서인 『헤셸의 슬기로운 말들』에서 ‘기념행사’(celebration)에 대한 단상을 피력한 바 있다.

 

[우리들 시대의 인간은 기념행사의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기념행사 대신 쾌락과 질탕하게 노는 것을 택한다. 기념행사는 공경하는 마음 또는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행위이다. 기념행사는 능동태이다. 질탕하게 노는 것은 수동태이다. 그것은 재미나게 노는 데서, 혹은 흥미진진한 구경거리에서 오는 쾌락을 받아들이는 행위이다.... 기념행사는 인간 행동의 초월적인 의미와 만나 주의 깊게 마주보는 것이다.... 기념행사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 또는 사람이 우러러 보는 것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는 행위이다.]

 

여러 분야에서 세계평화와 국제협력을 추구해야 하는 유네스코에서 기념해야 할 가치와 이념, 사건, 인물 등은 매우 다양하고 많다. 유네스코가 이들을 기념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국제상 운영’과 ‘기념일·기념해 등 특정 기간의 지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행사들이 열린다. 국제사회가 ‘기념’을 위해 제정한 ‘특정 기간’은 상당히 많지만,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 본부 홈페이지에 명시되어 있는 것만 소개하고자 한다. 그 외의 것은 독자들이 직접 찾아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시라.

 


유네스코가 가치를 기념하기 위해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평화상’ 메달,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로고, 2010년 ‘국제 모국어의 날’ 포스터, 2010년 ‘국제 생물다양성의 해’ 로고(출처: 유네스코)


참고로 유네스코 국제상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제정한 국제상으로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과 ‘유네스코/직지상’(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이 있다. 세종대왕 문해상은 1989년에 제정되어 1990년부터 시상해오고 있는 상으로서, 문해, 특히 개발도상국 모어(母語)의 발전 및 보급에 크게 기여한 개인/단체/기구 2명(곳)에게 매년(9월 8일 문해의 날)에 시상하고 있다. 직지상은 직지심체요절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고, 유네스코 기록유산 사업인 ‘세계의 기억’(Memory of the World) 사업을 촉진하고자 2004년에 제정된 상으로, 2년마다 기록유산 보존·활용에 크게 공헌한 개인/단체에게 시상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 정부는 1999년에 아리랑상(International Arirang Prize)을 제정, 2년마다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가운데 2점을 선정해 관련 개인/단체에게 시상했었지만 2009년 폐지되었다.

 

유네스코 국제상

 

유네스코는 교육, 과학, 문화, 정보커뮤니케이션 등 주요 사업 분야에 대한 국제상을 지정해 시상하고 있다.



분야

상명

교육

유네스코 여성 교육상

(UNESCO Prize for Girls’ and Women’s Education)

유네스코-일본 지속가능발전교육상

(UNESCO-Japan Priz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교사의 능률 향상을 위한 유네스코-함단 빈 라시드 알 막툼 상

(UNESCO-Hamdan Bin Rashid Al-Maktoum Prize for Outstanding Practice and Performance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유네스코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ICT 교육상

(UNESCO King Hamad Bin Isa Al Khalifa Prize for the use of ICTs in Education)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유네스코 공자 문해상

(UNESCO Confucius Prize for Literacy)

자연과학

과학 대중화를 위한 칼링가 상

(Kalinga Prize for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여성 과학자를 위한 로레알 유네스코 상

(L'Oreal-UNESCO Prize for Women in Science)

환경 보전을 위한 유네스코 술탄 카부스 상

(UNESCO Sultan Qaboos Priz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유네스코-적도기니 국제생명과학연구상

(UNESCO-Equatorial Guinea International Prize for Research in the Life Sciences)

카를로스 J. 핀리 유네스코 미생물학상

(Carlos J. Finlay UNESCO Prize for Microbiology)

유네스코-MAB 청년과학자상

(UNESCO-MAB Young Scientists Awards)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자를 위한 미셀 바티스 상

(Michel Batisse Award for Biosphere Reserve Management)

메르코수르 과학기술상

(Mercosur Award in Science and Technology)

유네스코 닐스 보어 황금메달

(UNESCO Niels Bohr Gold Medal)

IOC-유네스코 안톤 브룬 메달

(The IOC-UNESCO Anton Bruun Medal)

IOC-유네스코 N. K. 파니커 메달

(The IOC-UNESCO N. K. Panikkar Medal)

인문사회과학

아비센나 과학윤리상

(Avicenna Prize for Ethics in Science)

사회과학/인문학/예술 분야 유네스코-UNAM 하이메 토레스 보데트 상

(UNESCO-UNAM / Jaime Torres Bodet Prize in social sciences, humanities and arts)

유네스코 호세 마르티 국제상

(UNESCO - International José Martí Prize)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인문사회과학연구 증진을 위한 유네스코/후안보슈상

(UNESCO/Juan Bosch Prize for the Promotion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관용과 비폭력 확산을 위한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상

(UNESCO-Madanjeet Singh Prize for the Promotion of Tolerance and Non-Violence)

유네스코-샤르자 아랍문화상

(UNESCO-Sharjah Prize for Arab Culture)

유네스코 시몬 볼리바르 국제상

(UNESCO - International Simón Bolívar Prize)

문화

디자인 21 상

(Design 21 Competition)

정보

커뮤니케이션

유네스코/기예르모 까노 세계언론자유상

(UNESCO/Guillermo Cano World Press Freedom Prize)

유네스코/직지상

(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장애인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유네스코/Emir 알-아흐메드 알-자버 알-사바 상

(UNESCO/Emir Jaber al-Ahmad al-Jaber al-Sabah Prize for Digital Empower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기타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평화상

(The Félix Houphouët-Boigny Peace Prize)


기념일과 기념해 등

 

유엔은 인류의 삶과 역사에서 중요한 측면들을 기념하는 기간(일, 주, 년 등)을 지정해 범세계적 차원에서 그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유엔 등 다른 국제기구에서 지정한 것과 더불어 유네스코가 지정한 기념일, 기념해 등을 축하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다양한 관련 행사들을 개최하고 있다.

 

기념일 및 기념주간(International Days and Weeks)


날짜

기념일[주간]명

1

27

유대인 대학살 국제 추모의 날

(International Day of Commemoration in Memory of the Victims of the Holocaust)

2

11

과학 분야 국제 여성의 날

(International Day of Women and Girls in Science)

13

세계 라디오의 날

(World Radio Day)

21

국제 모국어의 날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3

8

국제 여성의 날

(International Women’s Day)

20

국제 프랑스어권의 날

(International Francophonie Day)

21

세계 시의 날

(World Poetry Day)

국제 인종차별 철폐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국제 누루즈의 날

(International Day of Nowruz)

22

세계 물의 날

(World Day for Water)

4

6

발전과 평화를 위한 국제 스포츠의 날

(International Day of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23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World Book and Copyright Day)

30

국제 재즈의 날

(International Jazz Day)

5

3

세계 언론 자유의 날

(World Press Freedom Day)

5

아프리카 세계 유산의 날

(African World Heritage Day)

21

대화와 발전을 위한 세계 문화다양성의 날

(World Day for Cultural Diversity for Dialogue and Development)

22

국제 생물다양성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Biological Diversity)

25

아프리카의 날 / 아프리카 주간

(Africa Day / Africa Week)

6

5

세계 환경의 날

(World Environment Day)

8

세계 대양의 날

(World Oceans Day)

17

세계 사막화 및 가뭄과의 투쟁의 날

(World Day to Combat Desertification and Drought)

7

18

국제 넬슨 만델라의 날

(Nelson Mandela International Day)

26

국제 맹그로브 에코시스템 보전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ngrove Ecosystem)

8

9

국제 원주민의 날

(International Day of the World's Indigenous People)

12

국제 청소년의 날

(International Youth Day)

23

국제 노예무역과 그 철폐 기념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the Remembrance of the Slave Trade and its Abolition)

9

8

국제 문해의 날

(International Literacy Day)

15

국제 민주주의의 날

(International Day of Democracy)

21

국제 평화의 날

(International Day of Peace)

28

정보로의 보편적 접근을 위한 날

(International Day for the Universal Access to Information)

10

5

세계 교사의 날

(World Teachers' Day)

두 번째

수요일

국제 재난 감소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Disaster Reduction)

17

국제 빈곤 퇴치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the Eradication of Poverty)

20

세계 통계의 날

(World Statistics Day)

27

세계 시청각 유산의 날

(World Day for Audiovisual Heritage)

11

2

국제 언론인 범죄 면책 종료의 날

(International Day to End Impunity for Crimes against Journalists)

5

세계 롬어의 날

(World Day of Romani Language)

10

평화와 발전을 위한 세계 과학의 날

(World Science Day for Peace and Development)

세 번째

목요일

세계 철학의 날

(World Philosophy Day)

16

국제 관용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Tolerance)

25

여성 폭력 국제 추방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29

팔레스타인 민족과의 국제 단결의 날

(International Day of Solidarity with the Palestinian People)

12

1

세계 에이즈의 날

(World AIDS Day)

3

세계 장애인의 날

(International Da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10

인권의 날

(Human Rights Day)

18

국제 이주민의 날

(International Migrants Day)

세계 아랍어의 날

(World Arabic Language Day)


기념해(International Years)


년도

기념해명

2002

유엔 문화 유산의 해

(United Nations Year for Cultural Heritage)

2003

국제 담수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Freshwater)

2004

국제 노예제 반대 투쟁 및 폐지 기념의 해

(International Year to Commemorate the Struggle against Slavery and its Abolition)

2005

국제 스포츠와 체육 교육의 해

(International Year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2008

국제 지구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Planet Earth)

국제 언어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Languages)

2009

국제 화해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Reconciliation)

국제 천문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Astronomy)

고릴라의 해

(Year of the Gorilla)

2010

국제 문화 간 화해의 해

(International Year for the Rapprochement of Cultures)

국제 생물다양성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Biodiversity)

2011

국제 화학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Chemistry)

국제 숲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Forests)

2012

국제 협동조합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Cooperatives)

2013

지구를 위한 수학의 해

(Mathematics of Planet Earth)

국제 물 협력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Water Cooperation)

2014

국제 결정학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Crystallography)

국제 군소도서 개발국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팔레스타인 민족과의 국제 단결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Solidarity with the Palestinian People)

2015

국제 빛과 빛 기반 기술의 해

(International Year of Light and Light-based Technologies)


기념 10년(International Decades)


기간(년)

기념 10년명

2001-2010

국제 아동을 위한 평화의 문화와 비폭력 10년

(International Decade for a Culture of Peace and Non-Violence for the Children of the World)

2003-2012

유엔 문해 10년

(United Nations Literacy Decade)

2005-2014

제2차 국제 원주민 10년

(Second International Decade of the World’s Indigenous People)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5

국제 “생명을 위한 물” 실천 10년

(International Decade for Action, “Water for Life”)

2010-2020

유엔 사막 및 사막화 방지 투쟁 10년

(United Nations Decade for Deserts and the Fight against Desertification)

2011-2020

유엔 생물다양성 10년

(United Nations Decade on Biodiversity)

2013-2022

국제 문화 간 화해 10년

(International Decade for the Rapprochement of Cultures)


[참고자료]

- 아브라함 요수아 헤셸 지음, 루스 마커스 굿힐 엮음, 이현주 역, 『헤셸의 슬기로운 말들』 (한국기독교연구소, 2010)

- 유네스코(unesco.org)

- 유네스코한국위원회(www.unesco.or.kr)

- 네이버 국어사전(http://dic.naver.com/)




오혜재 책임담당관 ggibbang@hanmail.net